비트코인 DeFi와 스택스(Stax, Stacks)를 구분 짓는 핵심적인 기술적인 차이는 스택스의 독특한 설계 철학과 비트코인 네트워크와의 상호작용 방식입니다. 아래는 주요 차이점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1. 비트코인 네트워크와의 통합 방식
기존 비트코인 DeFi:
비트코인 네트워크는 스마트 컨트랙트 지원이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비트코인 DeFi 프로젝트는 일반적으로 비트코인을 래핑(wrapping)하여 이더리움 같은 스마트 컨트랙트 네트워크에서 활용하거나,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활용해 Layer 2에서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비트코인의 보안을 간접적으로 사용하며, 본래의 네트워크와 직접적인 연동은 제한적입니다.
스택스:
스택스는 독립적인 Layer 1 블록체인이지만,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정기적으로 참조(checkpoint)하여 보안을 유지합니다.
**Proof of Transfer (PoX)**라는 독특한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스택스 블록체인의 작업과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작업을 연결합니다. 이는 비트코인 채굴자의 리소스를 사용해 스택스 블록을 생성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2. 스마트 컨트랙트 지원
기존 비트코인 DeFi:
비트코인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네이티브로 지원하지 않으므로, 복잡한 DeFi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어렵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프로토콜을 추가하거나 외부 체인(예: RSK, Liquid)을 사용합니다.
스택스:
스택스는 자체적인 스마트 컨트랙트 언어인 Clarity를 사용하여 스마트 컨트랙트를 제공합니다.
Clarity는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언어로 설계되어 스마트 컨트랙트의 동작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으며, 컴파일 과정 없이 실행되어 보안성을 높입니다.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상태를 직접 참조할 수 있어 비트코인과의 긴밀한 연동이 가능합니다.
3. 사용 사례 및 기능
기존 비트코인 DeFi:
주로 비트코인 자산을 다른 네트워크에서 활용하거나,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통한 마이크로결제와 같은 특정 기능에 초점을 맞춥니다.
비트코인의 본래 보안과 분산성을 활용하지만, 확장성과 유연성은 부족합니다.
스택스: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한 NFT, DAO, DeFi 등을 지원하며, 이를 통해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새로운 생태계를 추가합니다.
예를 들어, 스택스를 통해 생성된 스마트 컨트랙트는 비트코인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실제 BTC를 활용한 DeF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4. 보안 모델
기존 비트코인 DeFi:
보안은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강력한 작업 증명(Proof of Work)에 의존합니다. 하지만 별도의 체인에서 작동하는 경우, 보안은 해당 체인의 합의 알고리즘에 달려 있습니다.
스택스:
스택스는 비트코인의 보안을 간접적으로 사용하는 PoX 모델을 통해, 스택스 체인의 데이터가 비트코인 블록체인에 정기적으로 기록됩니다. 이를 통해 비트코인의 보안을 상속받으면서 독립적인 기능을 제공합니다.
요약
스택스는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 설계된 Layer 1 솔루션으로, Clarity 스마트 컨트랙트와 **Proof of Transfer (PoX)**를 사용해 비트코인 네트워크와 깊이 통합됩니다. 기존 비트코인 DeFi는 주로 비트코인을 외부 체인에서 활용하거나 특정 기능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스택스는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됩니다.